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그 여자의 평온함 아래 미칠듯한 내면이 날뛴다

고립감이 팽배한 현대 사회에서 온전한 정신으로 살아가기란 쉽지 않다. 올해 미국의 약 5780만 명의 성인이 정신 질환을 앓고 있고 매년 4만 명 이상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는 통계는 이러한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존 카사베츠 감독의 1974년 작품 ‘영향 아래 있는 여자(A Woman Under the Influence)’는 단순한 가족 드라마를 넘어, 현대 사회가 개인에게 가하는 압력과 그로 인한 고통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준다. 특히, 70년대 여성의 정신 건강 문제를 가족이라는 틀 안에서 섬세하게 다루며,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모호하게 흐릿해지는 순간들을 포착한다.   서스펜스의 거장 알프레드 히치콕은 몽타주 기법인 시점 쇼트와 반응 쇼트를 교차하며 관객을 주인공의 시선에 몰입시켜 극적인 긴장감을 고조시켰다. 반면 카사베츠는 시점 쇼트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탐구하는 동시에, 관객에게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는 특징을 보인다. 그는 시점 쇼트 이후 인물의 반응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보다는, 관객 스스로 인물의 심리를 추론하고 영화의 의미를 해석하도록 유도한다. 일상적인 공간을 뒤틀린 시선으로 바라보며, 인물의 불안정한 심리를 카메라의 움직임과 편집으로 생생하게 표현하여 관객을 깊은 심리적 혼란 속으로 끌어들인다.   주인공 메이블은 신경쇠약으로 고통을 받는 세 아이의 엄마다. 그는 남편과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낄뿐더러 불안과 고독을 끊임없이 드러낸다. 그녀의 불안정한 행동으로 가족들에게 상처를 입히지만, 동시에 아이들을 끔찍하게 아끼는 모성애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단순히 ‘비정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복잡한 감정과 욕망을 가진 인간임을 시사한다.   남편 닉 역시 마찬가지다. 성실하고 정이 많은 성격의 소유자이지만, 가부장적인 태도와 폭력적인 성향을 드러내며 인간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얼핏 보면 서로 사랑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들의 관계는 금이 간 유리처럼 뒤틀려 있다. 닉은 표면적으로 메이블을 보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형적인 가족의 이미지를 연기하는 데 집착한다. 메이블이 정신 병원에서 퇴원했을 때, 가족과 밥을 먹을 때조차 그는 부인을 생각하기보다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며 메이블을 통제한다.     이는 정신적으로 괴로운 메이블이 의자에 올라가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를 부르며 날갯짓을 하자 정점에 달한다. 닉은 이상행동을 하는 그녀를 보고 화를 누르지 못하고 힘으로 제압한다. 무력이 사용된 순간 이 관계는 수평적인 이해관계로 성립되지 않는다. 메이블의 절규는 정신적인 고통을 넘어, 사회가 여성에게 가하는 억압에 대한 묵언의 항변처럼 들린다. 메이블은 날 수 없는 백조나 다름없다. 사회적으로 부여된 여성의 역할과 남성 중심적인 사회 구조에 갇혀 자유롭게 날 수 없는 것이다.     영화를 구성하는 건축적인 특징 또한 메이블의 억압된 삶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층에 위치한 메이블의 침실은 곧 식당으로 사용된다. 이는 메이블이 개인적인 공간 없이 가족을 위한 헌신만을 강요받는 상황을 보여준다. 침실, 계단 옆 통로, 부엌, 화장실까지 이어져 있는 주택의 구조는 메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자유를 억압한다. 통 유리된 메이블의 방 또한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가는 그의 삶을 반영한다.   영화는 부부가 아이들을 재우고 집안을 정리하는 평화로운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다만 그 이면에는 깊은 균열과 불안이 도사리고 있음을 암시한다. 겉으로는 평온하지만, 내면의 상처는 여전히 아물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관객들에게 씁쓸함과 함께 강렬한 여운을 남긴다.   카사베츠는 이 영화를 통해 70년대 여성들이 겪었던 사회적, 심리적 고통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메이블의 정신적인 불안은 단순히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시스템과 가부장적인 가족 구조 속에서 여성들이 겪는 구조적인 문제의 결과라는 것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영향 아래 있는 여자’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질문을 던진다. 정하은 기자 chung.haeun@koreadaily.cominfluence 비정상 사회적 심리적 사회 구조 가족 구조

2024-08-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